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Algorithms
- 책
- Programming
- 백과사전
- 알고리즘
- Compiler
- 데이터베이스
- 방송통신대학교
- architecture
- Book
- 영화
- 영어
- Database
- ISBN:89-20-34523-6
- OS
- Computer
- 컴파일러
- 용어
- 법
- 프로그래밍언어
- 컴퓨터
- 컴퓨터과학과
- 광고
- Software
- 교육
- EJB
- 인간과 교육
- Java
- 운영체제
- Today
- Total
목록아이폰 (5)
Digital Intelligence
공식적으로 통신사에서 무료연결해주는 긴급통화(119,112등)를 제외한 일반적인 공공서비스의 민원신고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, 아무래도 통화료에 부담이 되는 일반요금제보다는 자주 전화로 민원 접수/신고를 하게 된다. 긴급통화 이외의 공익서비스(서울**/한국**공사,공단 등이 사업주체인 1588/1577국번의 민원 등)의 불편사항을 바로 바로 알리고 조치받을 수 있게 된 셈.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.
위 그림은, 해외에서는 이미 1~1.5년 전부터 Wi-Fi grayed out 이라고 널리 알려진 문제다. 아이폰과 아이팟 모두에서 가끔씩 발생하는 현상인듯...... MAC 첫 자리를 보면 F8:1E:DF:**:**:** F8-1E-DF (hex) Apple, Inc F81EDF (base 16) Apple, Inc 1 Infinite Loop Cupertino CA 95014 UNITED STATES 어쨌든 위(한국어로 설정했을 경우 저 비활성 자리에 "Wi-Fi 없음"이라고 표기된다.와이파이 없음......) 문제로 리퍼받았다. 절차는 좀 복잡하고 케이티의 세련미 없는 고객서비스는 논외로 하고, 리퍼라는게 받고 보니 새 제품과 다를 게 하나도 없다. 복원도 무사히 마쳤다. 아래 그림처럼 말이지. ㅋ..
기존 국내 일반 휴대폰의 배터리 잔량 표시법은 3~4단계로 좀 불명확한 아이콘으로 표시되던 것에 비해서 아이폰은 정확한 잔량 비율을 퍼센트로 표기함으로써, 사용자가 소모를 더 직감적으로 체감할 수 밖에 없는 것 같다. 아이폰 배터리 실은 오래 간다고 주장하고 싶은게 아니라, 스마트폰이라 워낙 만지작거리는 빈도도 높고 잔량이 1%줄어 들어도 바로 소모량이 눈에 들어 오니 그때문에라도 뭔가 초조해질 수 밖에 없지 않나 싶다. 한 번에 33%(25%)씩 뚝뚝 떨어지는 무례한 아이콘에는 자비롭던 사람들이 아이폰 배터리에 대해서는 좀 비이성적으로 헐뜯고 분개하는 것 같아 아쉬울 뿐이다.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.
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제목의 포스팅이 최근 부쩍 늘었다. 슈퍼블로거니 하는 사람들 조차, 광기어린 독설을 내뿜으며 누굴 탓하고, 누굴 원망하고 그런 분위기다. 솔직히 아이폰에 별 관심 없는 사람은 찬밥 신세에 조롱까지 받아야 하는 느낌이 드는데, 그런데 노여워 할 일이 아니라, 스스로의 시간을 좀 더 생산적인 곳에 쏟아 붇는 것은 어떨지. 초기수용자(딴에는 영어 쓴다고 "얼리어댑터"라고만 자칭하는 부류들도 있다)들의 좌절감이야 십분 이해한다만, 우리나라가 아이폰 하나 출시 되느냐 마느냐를 가지고 IT강국이냐 약소국이냐를 판정받아야 하는가 하는 점을 다시 한 번 되새겨 보기를 바란다.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다만, 아이폰, DSLR 뭐 이런 디지털 기기에 쏟는 시간의 절반이라도 종이책도 읽어 보고 사람 냄새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