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교육
- 법
- 광고
- 방송통신대학교
- ISBN:89-20-34523-6
- Algorithms
- 영화
- 책
- Software
- architecture
- Computer
- 백과사전
- 운영체제
- 컴퓨터
- Programming
- 영어
- Database
- Compiler
- 컴퓨터과학과
- 컴파일러
- Java
- 용어
- EJB
- 프로그래밍언어
- Book
- 데이터베이스
- OS
- 인간과 교육
- 알고리즘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기업은행 (2)
Digital Intelligence
기업은행 광고, 독백인가 권유인가?
화자가 "나"라고 할 때, 그것이 광고 카피이건 일상의 대화이건 청자와는 다른 존재를 지칭한다. "나"라는 단어를 광고 카피에 넣을 때에는, "나"의 경험이 이러이러하니 "당신"도 이러이러한 경험을 느낄 수 있다는 차원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맞다.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"나"="고객"이라는 뜻인데, 티저광고니 뭐니 해서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려는 의도는 가상하나 "당신", "고객"이란 단어를 "나"로 대체하여 남발하는게 도대체 제정신인지 의문스럽다. 나 "I(아이)"가 세상 그 무엇보다 맨 앞이다. 나의 재산은 나의 성공은. 나. 나를 최우선하는 나의 은행. 나 I(아이)를 맨 앞에 놓는 은행. IBK 기업은행 "나"는 화자를 지칭하는 말이니 위 멘트를 해석하면 이렇게 된다. 광고를 전달하는 주체이..
F7:견해 Opinion
2007. 3. 3. 00:46